Map

Contact

+010-8459-5200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은길 98-50

quiet413@naver.com

주변여행

제목연천 숭의전지2025-02-05 19:11
작성자 Level 10

a6.jpg
 

개요

숭의전지(殿)는 조선시대에 전조()인 고려시대의 왕들과 공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받들게 했던 숭의전이 있던 자리이다. 이곳은 원래 고려 태조 왕 건( )의 원찰이었던 앙암사()가 있었던 곳으로 1397년(태조 6)에는 고려 태조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건립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지금 숭의전의 시초이다. 사당 건립 이후 1399년(정종 1년)에는 왕명에 의해 고려 태조를 비롯하여 혜종(), 성종(), 현종(), 문종(), 원종(충경왕, ), 충렬왕(), 공민왕() 등 고려 8왕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이후 1425년(세종 7)에 이르러 조선의 종묘에는 5왕()을 제사하는데 고려조의 사당에 8왕을 제사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하여 태조, 현종, 문종, 원종 등의 4왕만을 봉향토록 하였다.

1451년(문종 1)에는 전대의 왕조를 예우하여 숭의전이라 이름 짓고 고려 4왕과 더불어 고려조의 충신 16명(복지겸;, 홍 유; , 신숭겸;, 유금필;, 배현경;, 서 희; , 강감찬;, 윤 관; , 김부식;, 김취려;, 조 충; , 김방경;, 안 우; , 이방실;, 김득배;, 정몽주;) 등을 배향토록 하였다. 1452년(문종 2)에는 고려 현종의 먼 후손을 공주에서 찾아서 순례()라는 이름을 내린 후 부사(使)를 삼아 그 제사를 받들게 하고 토지와 노비를 내렸다. 숭의전은 조선시대 1605년(선조 38), 1727년(영조 3), 1789년(정조 13), 1868년(고종 5), 1908년(순종 2) 등 총 5차례에 걸쳐 개수()와 중수()를 반복하였다. 그러다가 한국전쟁 중에 전소하였으며, 이를 1972년에 사적으로 지정하고 다음해에 재건하게 되었다.

현재 재건된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숭의전(殿, 4왕의 위패를 모신 곳)을 비롯하여 배신청(, 고려 16공신의 위패를 모신 곳), 이안청(, 위패를 잠시 모셔 두는 곳), 전사청(, 제례 때 사용할 제수를 준비 하는 곳), 앙암재(, 제례 때 사용하는 향, 축, 폐등을 보관하고 제사에 참여하는 제관들이 제례준비를 하며 머무는 곳) 등 5동의 부속건물과 내신문(), 외신문(), 협문() 3동, 운조문() 등 6개의 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속건물들은 모두 돌담장으로 둘러져 내부가 잘 보이지 않으며 앙암재와 전사청은 각각 별도로 독립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마전군 읍지( )에 의하면 1899년 당시 숭의전은 지금 재건된 것보다 규모가 더 컸음을 알 수 있다. 즉, 당시는 18칸 규모의 정전과 배신청, 이안청, 향배청, 전사청, 주방 등의 건물과 2개의 문이 있었다.

이용안내

이용시간

4월~10월 : 10:00~17:00
11월~3월 : 10:00~16:00

쉬는날

1월 1일, 설날/추석 명절 당일

주차시설

있음

문의및안내

031-839-2565

관련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index.do
http://www.cha.go.kr

상세정보

화장실

있음

입 장 료

무료

한국어 안내서비스

가능(해설사 요청) 031-839-2061

[네이버 지식백과] 연천 숭의전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